2025/04/02 5

[정치학/모델링] Duck-Mayr & Montgomery (2021) 이념 측정 모델 "GGUM"을 제안하다 (PA)

🎯 왜 이 논문이 중요한가요?미국 의회나 대법원에서 좌파와 우파가 같은 표결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진보적인 의원과 보수적인 의원이 같은 법안에 반대표를 던지기도 하는데, 이유는 전혀 다릅니다. 진보는 “너무 보수적이어서”, 보수는 “너무 진보적이어서” 반대한 것이죠.그런데 기존의 이념 측정 방법(예: DW-NOMINATE, IRT 등)은 이런 투표를 ‘중도적 행동’으로 해석해버리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 결과, 극좌파 의원이 "보수적인 인물"로 분류되는 이상한 현상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AOC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즈)입니다.이 논문은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섰습니다. 같은 행동이지만, 동기가 완전히 반대일 수 있다는 점을 모델링에 반영한 새로운..

Article Review 2025.04.02

[민주주의] Yuen & Lee (2025) 홍콩 사례를 통해 본 자기검열과 민주주의 후퇴 (Democratization)

🧠 왜 사람들은 '자기검열'을 할까? — 홍콩 사례를 통해 본 민주주의 후퇴와 사회적 영향력여러분,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정치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었지만 괜히 꺼내기 조심스러웠던 순간.혹은 가족이나 친구가 “그런 얘기는 안 하는 게 좋아”라고 말했던 기억.이처럼 '자기검열(self-censorship)'은 멀리 있는 독재국 얘기만은 아닙니다.오늘 소개할 논문은 바로 이 자기검열이 어떻게 사람들 사이에서 퍼져나가는지, 특히 민주주의가 무너져가는 상황에서 어떤 메커니즘이 작동하는지를 다룬 매우 중요한 연구입니다. 홍콩의 국가보안법 시행 이후 시민들의 행동 변화, 그중에서도 '말을 아끼는' 방식의 변화에 주목한 연구인데요, 정말 흥미로운 결과가 많았습니다! 📚 기존 연구(Literature)에서 뭐라..

Article Review 2025.04.02

[정치학/LLM] Benati et al (2025) 왜 어떤 사람들은 포퓰리스트 정당에 투표할까? 랜덤포레스트 +SMOTE 로 분석해보기 (Q&Q)

🌍 왜 어떤 사람들은 포퓰리스트 정당에 투표할까?— 유럽 21개국을 대상으로, 최신 머신러닝 기법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해 분석한 연구 소개🧐 1. 이 연구가 다룬 문제는?"왜 사람들은 포퓰리즘 정당에 투표할까?"이 질문은 지난 몇 년 동안 유럽 정치학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였습니다. 브렉시트, 트럼프의 당선, 극우 정당의 급부상 등…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기존 정당 체계가 흔들리고 있고, 그 중심에는 ‘포퓰리즘’(populism)이라는 키워드가 자리 잡고 있죠.하지만 막상 "포퓰리즘이 뭐냐"고 물으면 학자들도 쉽게 정의를 내리기 어려워합니다. 예를 들어, 유명 정치학자인 Cas Mudde는 포퓰리즘을 "엘리트는 부패했고, 진정한 정치는 ‘순수한 국민(the pure peo..

Article Review 2025.04.02

[정치학/LLM] Kistner et al (2025) 미국 국회의원들의 SNS, 점점 더 '극단적'이 되고 있다?

📱 미국 국회의원들의 SNS, 점점 더 '극단적'이 되고 있다?요즘 정치인들이 SNS에서 많이 보이죠? 트위터(X), 페이스북, 뉴스레터 같은 온라인 공간은 이제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수단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 속 내용을 찬찬히 뜯어보면, 점점 더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언어들이 늘어나고 있다면 어떨까요?오늘 소개할 논문은 바로 그 점을 아주 정밀하게 분석한 최신 연구입니다. 무려 2009년부터 2022년까지 14년치 미국 연방의회 의원들의 트윗, 페이스북 글, 뉴스레터 총 780만 개를 모아서 분석했어요.🧠 이 논문이 말하는 핵심 요약의원들의 온라인 메시지, 점점 더 정당 편향적(partisan)이고 부정적인 톤으로 변하고 있음이런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메시지일수록 SNS에서는 인기 (좋아요와 리..

Article Review 2025.04.02

[정치학] Bonica et al (2025) 후보자의 이념이 너무 극단적이면 표를 잃을까?

후보자의 이념이 너무 극단적이면 표를 잃을까?같은 투표소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선거 분석1. 기존 연구들이 말해 온 것들: 이념이 너무 강하면 표를 잃는다?유권자들은 과연 너무 극단적인 후보를 싫어할까요?이건 정치학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중요한 질문입니다. 이른바 ‘이념적 페널티(ideological penalty)’라는 개념인데요, 간단히 말해서 후보가 너무 좌파거나 너무 우파이면, 중도 유권자들이 등을 돌려서 표를 덜 받게 된다는 이론입니다.이 아이디어는 정치학의 고전이론인 Anthony Downs의 '합리적 유권자 이론(1957)'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유권자들은 자신과 이념적으로 가까운 후보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후보는 가능한 한 유권자들의 평균적 위치에 가까워지려고..

Article Review 2025.04.02